
1. 타입스크립트란?
- 데이터 타입을 부여한 자바스크립트,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(모든 기능을 표함하면서 추가적인 기능도 활용)
- 변수의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 타입을 지정한다
- 자바스크립트와 달리 브라우저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파일(파일 변환) 과정이 필요
//javascript
function sum(a, b) {
return a+b;
}
sum(1, 2);
//typescript
function sum(a: number, b: number):number {
return a+b;
}
sum(1, 2);
2. 자바스크립트와의 차이
- 자바스크립트 = 인터프리터 언어 / 타입스크립트 = 컴파일언어
- 인터프리터 언어: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가며 바로 실행해 빠른 편
- 컴파일 언어: 언어 변환과 명령 실행이 따로 이루어짐. 런타임 상황에서는 모든 소스코드가 변환되어 있어 빠르게 실행
3.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 (장점)
- 버그 방지: 컴파일 단계에서 타입 체크를 하기 때문에 코드 작성 중 타입 어노테이션 기능으로 에러를 빠르게 발견
- 데이터 구조를 빠르게 파악 가능: 필드나 함수의 매개변수로 들어오는 값의 자료형을 바로 확인 가능(ide가 직접 리스트업해줌)
4.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
- React, Next.js, Vue.js, Angular, Nest.js 등등
'La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all by reference, call by value, 자바스크립트에서의 call by (0) | 2024.11.26 |
---|